4/20/2025 | 부활 주일
내가 세상을 이겼다! (I Have Overcome The World!)
김태환 목사
요한복음 16:31-33
31 예수님께서 대답하셨습니다. “이제 너희가 믿느냐? 32 그러나 잘 들어라. 너희가 뿔뿔이 흩어질 때가 다가오고 있으며, 이미 그 때가 되었다. 너희는 저마다 자기 집으로 흩어지고, 나를 혼자 버려 둘 것이다. 그러나 나는 혼자가 아니다. 그것은 아버지께서 나와 함께 계시기 때문이다.” 33 “내가 이것을 너희에게 말한 것은 너희가 내 안에서 평안을 얻게 하려는 것이다. 이 세상에서는 너희가 고난을 당할 것이다. 그러나 담대하여라! 내가 세상을 이겼다!” (쉬운성경)
31 Jesus asked, “Do you finally believe? 32 But the time is coming—indeed it’s here now—when you will be scattered, each one going his own way, leaving me alone. Yet I am not alone because the Father is with me. 33 I have told you all this so that you may have peace in me. Here on earth you will have many trials and sorrows. But take heart, because I have overcome the world.”(New Living Translation)
존 웨슬리 (John Wesley, 1703-1791, 영국)라는 분이 계셨습니다. 흔히 감리교회를 창시하신 분으로 알려진 분입니다. 그분에 대한 일화들이 많습니다. 그는 평생 말을 타고 다니면서 노방전도를 했는데, 그가 52년 동안 전도하러 다닌 거리가 무려 400,000km나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거리는 지구를 열 바퀴 돌 수 있는 거리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는 평생 42,000번의 설교를 했고, 200여권의 책을 저술했습니다. 재미 있는 것은 그가 쓴 책 중에 ‘기초 물리학 (Primitive Physick, 1747)’이라는 의학 책이 있다는 것입니다. 당시에는 병원 치료 값이 비싸서 가난한 사람들은 병원에 갈 엄두도 낼 수 없었는데, 이 책은 식이요법이나 민간요법에 대한 것이어서 누구나 혜택을 볼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책이 대중들의 폭발적인 인기를 끌어서 무려 32판이나 찍었다고 합니다. 이 책은 웨슬리의 사회 개혁의 정신을 보여주는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웨슬리는 1791년 87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임종 전에 그는 나지막한 목소리로 아이작 와츠 (Isaac Watts, 1674-1748, 영국)의 찬송가 ‘숨쉬는 동안 나는 창조주를 찬양하리라 (I'll Praise My Maker While I've Breath)’를 불렀습니다. 그리고 그의 임종을 지켜보는 가족들과 친구들에게 이런 유언을 남겼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것입니다 (The best of all is, God is with us).”
오늘 요한복음 16장 본문 말씀에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가 모두 나를 버리고 떠나게 되겠지만 그 때도 나는 외롭지 않을 것이다. 내 아버지께서 나와 함께 계시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 가지고 계시는 하나님께 대한 믿음은, 형식적인 믿음이 아니라 실제적인 믿음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앞으로 있을 엄청난 고난 속에서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 어떻게 나를 지켜줄 수 있는지 제자들에게 보여주셨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예배하고, 하나님을 믿고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르며 신뢰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시편 46편 말씀을 한번 보세요. 이 시편은 ‘고라의 자손 (the descendants of Korah)’이 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나님이 그 성 안에 계시므로, 그 성(城)이 흔들리지 않을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새벽부터 그 성을 도우실 것입니다 (God dwells in that city; it cannot be destroyed. From the very break of day, God will protect it., NLT).” (5절) 이 말씀에서 ‘성’은 문자 그대로 ‘castle’ 혹은 ‘city’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지만, 사실은 우리의 삶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우리가 흔들리지 않는 삶을 살 수 있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새벽부터 우리와 함께 계시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생명의 주인이시며, 이 세상을 그의 뜻대로 주관하시는, 우리의 산성 (fortress)이신 전능하신 ‘엘 샤다이 (El Shaddai)’ 하나님께서 새벽부터 온 종일 우리와 함께 계시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상황 속에서도 두려움 없이 흔들리지 않는 삶을 살 수 있는 것입니다. 성경에 이런 말씀이 있는 것을 아시나요? “지금 우리가 겪는 일시적인 가벼운 고난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영원하고 크나큰 영광을 우리에게 이루어 줍니다(고린도후서 4:17). 이 말씀에서 ‘일시적인 가벼운 고난’이란 말과 ‘영원하고 크나큰 영광’이란 말을 대조해서 읽어 보세요. 우리가 어떤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희망을 포기하지 않고 살아야 하는 이유가 이 말씀 속에 들어 있습니다. 당장에는 이해가 되지 않는 일이 많이 있지만, 결국에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하나님의 선한 뜻대로 된다는 것이 우리가 가진 희망이고, 우리가 가진 믿음입니다 (로마서 8:28).
어떤 사람들은 하나님이 눈에 보이지도 않는데, 어떻게 믿느냐고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에 나오는 믿음의 사람들을 보면 모두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보는 것 같이 믿었던 사람들(히브리서 11:27)’입니다. 눈에 보이는 것을 믿는 것은 믿음이 아닙니다 (로마서 8:24).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그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믿는 것이 믿음입니다 (히브리서 11:1).
오늘은 부활절 예배를 드리는 날입니다. 2,000년 전에, 예수님의 빈무덤을 처음 발견한 여자들이 사람들에게 부활의 소식을 전했던 것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서, 오늘날 크리스천들이 드리는 주일 예배의 기원(起源)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지 부활절 예배가 분주하고 번잡한 예배가 되고 말았습니다. 세례식이 있습니다. 예배 후에 식사가 있습니다. 음식을 준비하는 분들은 평소보다 마음이 더 분주합니다. 그러다 보니, 부활절 예배가 행사처럼 치러지고 있습니다. 제가 목회했을 때도 부활절 예배를 드리고 나면 늘 “이게 아닌데.......” 하는 아쉬운 마음이 들곤 했습니다. 오늘 이 예배가 우리의 온 마음을 다 해 드리는, 신령과 진정으로 드리는 예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하신 말씀을 들어 보세요. “내가 이것을 너희에게 말한 것은 너희가 내 안에서 평안을 얻게 하려는 것이다. 이 세상에서는 너희가 고난을 당할 것이다. 그러나 담대하여라! 내가 세상을 이겼다!” (33절) 예수님이 주시는 부활절 메시지입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불안과 공포 속에서도 평안을 누릴 수 있는 길이 있다고 말씀하십니다. 그것은 ‘내 안에서’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심을 믿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말씀하시는 예수님은 ‘세상을 이긴 분 (One who has overcome the world)’입니다. 이 말씀 속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는, 내가 세상을 이겼으니, 나를 믿는 너희도 세상을 이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예수님이 이기신 ‘세상’은 어떤 세상입니까? 그리스어 원문에 ‘코스모스 (κόσμος)’라고 나와 있습니다. 이 말 속에 다양한 뜻이 있지만, 여기서는 간단하게 ‘사탄’이 지배하고 있는 세상이라고 이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탄’은 하나님을 반대하는 ‘영적인 실체 (實體)’를 말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분명히 그런 존재가 있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사탄’, ‘마귀’, ‘바알세불’이란 말을 사용하셨고, ‘이 세상의 통치자 (the ruler of this world)’라는 말도 사용하셨습니다. 모두 하나님을 대적하는 영적인 힘을 가진 존재를 말합니다. 바울은 ‘공중의 권세 잡은 자 (the commander of the powers in the unseen world, NLT, 에베소서 2:2)’라는 말을 사용했습니다. 이 ‘공중의 권세 잡은 자’는 사람들의 마음에 하나님께 불순종하는 마음을 붙어 넣습니다. 이밖에 ‘이 세상의 신’, ‘속이는 영’, ‘빛의 천사 (고린도후서 11:14)’라는 말도 사용했습니다. ‘빛의 천사’로 가장한 사탄은 우리 마음 속에 들어와 의로운 하나님의 일꾼인 것처럼 행동합니다. 사탄은 제자 베드로의 마음에 들어와 마치 예수님을 위하는 것처럼 십자가를 지지 못하도록 가로 막는 일을 했습니다 (마가복음 8:32-33). 사탄은 제자 유다의 마음에 들어가 예수님을 배반하고 예수님을 팔아 넘기는 일을 했습니다(요한복음 13:26-28). 이처럼 사탄은 하나님을 배반하고, 죄를 짓게 만들어 하나님과의 관계를 끊어 놓습니다. 성경은 이것을 ‘영적인 죽음 (spiritual death)’이라고 합니다.
죄를 히브리어로 ‘하타트(חַטָּאת)’라고 하고, 그리스어로는 ‘하마르티아(ἁμαρτία)’라고 합니다. 모두 ‘과녁에서 빗나가다 (missing the mark)’라는 뜻입니다. 이사야는 하나님을 떠난 자기 시대 백성들을 향해서 “우리는 다 (목자를 떠난)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All we like sheep have gone astray. We have turned, every one, to his own way., NKJV, 이사야 53:6, 베드로전서 2:25)”이라고 했습니다. 여기에 사용된 ‘길을 잃은(astray)’, ‘돌아서다(turn)’, ‘제 자신의 길로(to his own way)’라는 말들은 모두 ‘과녁에서 빗나간’ 죄된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말들입니다.
성경적인 의미에서 보면 인생의 목적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것 자체가 죄입니다. 이 예배를 드리는 여러분들은 어떠신가요? 내가 왜 사는지, 무엇을 위해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인생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셨습니까? 어느 책을 읽다가 본 것입니다만,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 1917-1963, 미국)가 이런 의미 있는 말을 했습니다. “목적과 방향이 없다면 노력과 용기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Efforts and courage are not enough without purpose and direction).” 무조건 열심히만 살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나는 그래도 열심히 살고 있으니까!” 하면서 스스로 위로하고 만족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그렇지 않습니다. 또, 열심히 일하고 돈을 모으는 재미로 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삶의 목적이 올바로 설정되지 않으면 그것 만으로 충분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잘 아는 미국의 철학자 에머슨 (Ralph Waldo Emerson, 1803-1882, 미국)은 삶의 목적에 대해 이런 말을 했습니다. “삶의 목적은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다. 유용하고, 고결하며, 동정심을 가지며, 잘 삶으로 말미암아 차이를 만드는 것이다 (The purpose of life is not to be happy. It is to be useful, honorable, and compassionate, making a difference by living well).” 삶의 목적이 유용한 것이어야 한다는 말은 삶의 목적이 다른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다른 사람들에게 교훈을 주고,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중요한 것은, 참된 삶의 목적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된다는 사실입니다. 다른 사람을 위해 고귀한 희생과 헌신과 섬김의 삶을 산 사람들을 보면 거의 예외 없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인생의 목적을 발견한 사람들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선물로 주신 우리의 삶을 낭비하며 헛된 일에 사용하는 것은 죄입니다. 바로 여기에 우리가 주일마다 교회에 나와 예배를 드리고 우리의 믿음을 고백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생각해 보면, 우리가 어쩌다가 교회에 나오게 되었는지 참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교회에 나오는 것으로 만족하지 말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여러분의 인생의 목적을 발견해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성공과 실패를 판단하는 기준 (standard)이 달라집니다. 예전에는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면서 성공과 실패를 판단했지만, 이제는 인생의 목적에 따라 성공과 실패를 판단하게 됩니다. 내가 이룬 업적과 명예와 그리고 내가 축적한 부와 상관없이, 내가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한 인생의 목적에 충실하게 살았다면 나는 성공적인 인생을 산 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나는 유감스럽지만 실패한 인생을 산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서른 세 살에 우리를 위하여 십자가를 지시고 죽으심으로 하나님의 뜻을 이루셨습니다. 제자 요한은 그의 복음서에 “유월절 전에 예수께서는, 자기가 이 세상을 떠나서 아버지께로 가야 할 때가 된 것을 아시고, 세상에 있는 자기의 사람들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셨습니다 (요한복음 13:1)”라고 기록했습니다. 여러분은 이 말씀을 읽을 때 무슨 생각이 드시나요? 우리에겐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언제까지 학생이고, 언제까지 청년으로 내 젊음이 계속될 것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한 시라도 빨리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인생의 목적을 발견해야 합니다. “나는 무엇을 위해서 이 세상에 태어났는가 (What on earth am I here for)?” 이 질문을 자신에게 끊임없이 물어야 합니다. 사탄은 끊임없이 우리가 잘못된 과녁을 설정하고 우리의 시간과 젊음의 화살을 낭비하도록 우리를 유혹해서 죄의 길로 인도하려고 합니다.
죄에 대하여 우리가 잘 아는 말씀이 있습니다. 로마서 6:23에 있는 “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 이 말씀입니다. 그런데, 이 말씀이 쉬운 말씀 같지만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 말씀이 NIV 성경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For the wages of sin is death, but the gift of God is eternal life in Christ Jesus our Lord.” ‘wages’는 보통 우리가 ‘임금’, ‘급료(給料)’, ‘대가(代價)’, 혹은 순수한 우리 말로 ‘삯’이라고 해석하잖아요? 하지만, “죄의 삯은 죽음이다” 이렇게 해석하면, 그 뜻이 금방 들어오지 않지만 ‘wages’라는 말을 ‘대가’로 번역하면 뜻이 금방 들어옵니다. 이 경우 ‘대가’라는 말에 ‘결과(結果)’라는 뜻이 있기 때문에 “죄의 대가는 죽음이다” 혹은 “죄의 결과는 죽음이다.” 이렇게 해석하면 그 뜻을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서는 너희가 고난을 당할 것이다. 그러나 담대하여라! 내가 세상을 이겼다!”라고 말씀하신 의미는 무엇일까요? 예수님께서 죽음을 이기시고 부활하심으로써 세상을 지배하고 있던 사탄의 권세를 이기셨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예수님을 믿는 우리도 세상을 이길 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우리 앞에는 우리를 위협하는 어떤 것도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 어떤 고난도, 그 어떤 환난도, 죄의 권세도, 죽음도 더 이상 우리를 위협할 수 없습니다. 이것이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담대하여라!”라고 말씀하신 이유입니다.
‘살아계신 주 (Because He Lives)’라는 찬양이 있습니다. 게이더 부부 (William J. & Gloria Gaither)가 가사를 쓰고 작곡을 했습니다. 이 찬양의 후렴 가사가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Because He lives, I can face tomorrow (주께서 살아 계시니 내일을 마주할 수 있네). Because He lives, All fear is gone (주께서 살아 계시니 모든 두려움이 사라지네). Because I know He holds the future (주께서 나의 미래를 주관하시는 것을 알기 때문에), And life is worth the living just because He lives (내 삶은 살 가치가 있네. 주께서 살아 계신다는 이유만으로). 이 얼마나 멋지고, 아름다운, 그리고, 성경적인 가사입니까?
초대교회의 신자들은 예수님 때문에 두려움 없이 내일을 맞이할 수 있었습니다. 이들은 모두 예수님 때문에 삶에 의미가 생기고, 미래에 대한 희망이 생기고, 삶의 의미와 목적과 이유가 생긴 사람들이었습니다. 성경은 당시 그들의 모습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께 복종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여러분이 십자가에 매달아 죽인 예수님을 우리 조상의 하나님께서 다시 살리셨습니다.....우리는 모두 이 일의 증인들입니다.’.....사도들은 예수님 때문에 모욕당하는 것을 영광이라고 생각하여 오히려 기뻐하면서 공의회를 나왔습니다. 그들은 날마다 성전 뜰에서, 그리고 집집마다 다니며 예수님이 바로 그리스도라는 복음의 내용을 쉬지 않고 가르치고 전했습니다 (사도행전 5:29-30, 32, 5:41-42).” 이들이 ‘예수님 때문에’ 불안한 내일을 마주할 수 있었고, ‘예수님 때문에’ 고난도 달게 받았던 것처럼, 오늘 우리도 ‘예수님 때문에’ 살아야 이유를 발견해야 합니다.
제가 좋아하는 톰 라이트 (N.T. Wright)라는 영국의 성서 학자가 있습니다. 그가 이런 말을 했습니다. “부활은 하나님의 나라의 시작을 완성하는 사건입니다.....이것은 하나님의 나라가 정말로 하늘에서뿐만 아니라 땅에서도 시작되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사건입니다. 부활절의 메시지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새로운 세상이 드러났으며, 이제 당신도 그 나라에 속할 수 있도록 초대받았다는 것입니다 (The resurrection completes the inauguration of God's kingdom.... It is the decisive event demonstrating that God's kingdom really has been launched on earth as it is in heaven. The message of Easter is that God's new world has been unveiled in Jesus Christ and that you're now invited to belong to it).” —Surprised by Hope: Rethinking Heaven, the Resurrection, and the Mission of the Church (N.T. Wright, 2008)
톰 라이트는 사탄이 패배하고 무력하게 됨으로 말미암아 예수님의 부활의 의미가 엄청나게 확장되었다고 합니다.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심으로 시작된 하나님의 프로젝트는,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마태복음 6:9-13)” 이렇게 기도하라고 가르쳐 주신 주님의 기도 대로, 이제 완성을 향해 나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자녀들은 모두 이 하나님의 프로젝트에 초대를 받았다고 합니다. 예수님의 부활의 의미가 이렇게 확장되었습니다.
이 말씀에 가슴이 웅장해지지 않습니까? 가정에서나, 일터에서나, 학교에서나 우리가 주어진 일에 소명의식을 가지고 충실하게 살고, 진리와 거짓이 싸울 때 망설이지 않고 진리 편에 서고, 정의와 불의가 싸울 때는 주저하지 않고 정의 편에 섭니다. 그리고, 미움이 있는 곳에 사랑을, 다툼이 있는 곳에 용서를, 분열이 있는 곳에 일치를, 의심이 있는 곳에 믿음을, 절망이 있는 곳에 희망을, 슬픔이 있는 곳에 기쁨을, 어둠이 있는 곳에는 빛을 밝힙니다. 저는 이것이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에 완성하는, 하나님의 프로젝트에 초대받은 사람들이 살아야 하는 삶의 방식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나님의 프로젝트에 초대받은 우리는 나만 위하는 이기적인 생각을 버리고, 공동체를 생각하고, 교회를 생각하고, 먼저 하나님의 나라와 하나님의를 구하는 삶의 방식을 따라 살아야 합니다.